서브 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37억달러, 우리 돈으로 약 3조 6천785억원을 벌어들인 펀드매니저가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한 쪽에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전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을 치면서 많은 사람들이 주택담보대출금을 제 때 갚지 못해 집에서 쫓겨나고 있는 가운데 한 쪽에서는 이처럼 상상을 초월하는 엄청난 부를 거머쥐는 사람들이 있으니 세상은 참 요지경입니다.
최근 미국의 기관투자자 잡지인 ‘알파 매거진(Alpha Magazine)’이 발표한 펀드매니저 고수익 명단에 따르면 존 폴슨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증권이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고 전망해 작년에 약 3조6천785억원(37억달러)의 대박을 터뜨려 최고 수익을 올린 펀드매니저가 됐다고 합니다.
폴슨이 작년에 번 돈은 한 해 펀드매니저가 벌어들인 수익으로 월스트리트 사상 최고 금액에 해당하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부도위기 직전까지 몰렸다가 JP모건 체이스로 넘어간 베어스턴스를 3번이나 살 수 있는 엄청난 금액입니다.(그리고 이 돈은 최근 델타 항공이 노스웨스트 에어라인을 합병하는데 드는 비용을 다 지급하고도 6억달러가 남는다)
알파 매거진이 2002년 처음으로 펀드매니저들의 수익을 조사할 당시만 해도 상위 25명의 수익을 합친 금액이 28억달러 정도로 몇 년전만 하더라도 헤지펀드매니저가 이 정도의 돈을 벌 것이라고는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더구나, 폴슨의 작년 수익률은 2007년에 운용한 자금이 헤지펀드 기준으로는 그리 많지 않은 60억달러를 가지고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더더욱 놀라움을 줍니다.
이 밖에도 투자의 귀재로 명성을 날려온 조지 소로스도 폴슨이 벌어들인 것에는 못 미치지만 2조8천832억원(29억달러)이라는 어마어마한 떼돈을, 이어 월스트리트의 큰 손인 제임스 사이먼스도 소로스에 필적하는 2조7천838억원(28억달러)을, 4위와 5위는 필립 펠콘과 케니스 그리핀으로 17억달러와 15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또 알파 매거진 순위 25위 안에 들기 위해서는 연간 3억6천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여야 하는데, 이는 미국 일반 가정의 연평균 소득이 6만500달러인 점에 비춰 500배가 넘는다고 합니다.
미 의회에서 헤지펀드 펀드매니저들의 수익에 대해 세금을 올리는 법안을 적극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요, 부의 불평등을 제도와 법률로써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이에 대하여 일각에서는 펀드매니저들의 경우 자신의 투자가 실패할 때 성공했을 때 얻는 수익 만큼이나 많은 손해를 보기 때문에 막대한 위험을 감수한 데 따른 적절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논리도 있어 세금을 올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서브프라임모기지 관련 잠재손실이 한국의 작년 국내총생산(GDP)에 해당하는 9천450억달러에 달한다는 추산한 바 있습니다.
아무튼, 그들은 어떻게 예측하는지, 그것이 궁금할 따름입니다.
최근 미국의 기관투자자 잡지인 ‘알파 매거진(Alpha Magazine)’이 발표한 펀드매니저 고수익 명단에 따르면 존 폴슨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증권이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고 전망해 작년에 약 3조6천785억원(37억달러)의 대박을 터뜨려 최고 수익을 올린 펀드매니저가 됐다고 합니다.
폴슨이 작년에 번 돈은 한 해 펀드매니저가 벌어들인 수익으로 월스트리트 사상 최고 금액에 해당하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부도위기 직전까지 몰렸다가 JP모건 체이스로 넘어간 베어스턴스를 3번이나 살 수 있는 엄청난 금액입니다.(그리고 이 돈은 최근 델타 항공이 노스웨스트 에어라인을 합병하는데 드는 비용을 다 지급하고도 6억달러가 남는다)
알파 매거진이 2002년 처음으로 펀드매니저들의 수익을 조사할 당시만 해도 상위 25명의 수익을 합친 금액이 28억달러 정도로 몇 년전만 하더라도 헤지펀드매니저가 이 정도의 돈을 벌 것이라고는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더구나, 폴슨의 작년 수익률은 2007년에 운용한 자금이 헤지펀드 기준으로는 그리 많지 않은 60억달러를 가지고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더더욱 놀라움을 줍니다.
이 밖에도 투자의 귀재로 명성을 날려온 조지 소로스도 폴슨이 벌어들인 것에는 못 미치지만 2조8천832억원(29억달러)이라는 어마어마한 떼돈을, 이어 월스트리트의 큰 손인 제임스 사이먼스도 소로스에 필적하는 2조7천838억원(28억달러)을, 4위와 5위는 필립 펠콘과 케니스 그리핀으로 17억달러와 15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또 알파 매거진 순위 25위 안에 들기 위해서는 연간 3억6천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여야 하는데, 이는 미국 일반 가정의 연평균 소득이 6만500달러인 점에 비춰 500배가 넘는다고 합니다.
미 의회에서 헤지펀드 펀드매니저들의 수익에 대해 세금을 올리는 법안을 적극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요, 부의 불평등을 제도와 법률로써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이에 대하여 일각에서는 펀드매니저들의 경우 자신의 투자가 실패할 때 성공했을 때 얻는 수익 만큼이나 많은 손해를 보기 때문에 막대한 위험을 감수한 데 따른 적절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논리도 있어 세금을 올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서브프라임모기지 관련 잠재손실이 한국의 작년 국내총생산(GDP)에 해당하는 9천450억달러에 달한다는 추산한 바 있습니다.
아무튼, 그들은 어떻게 예측하는지, 그것이 궁금할 따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