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을 읽어가는 동안 '포화속으로'라는 영화를 보았다. 그리고 이재한 감독이 스탠포드 대학에서 시사회 할때 누군가가 "인트로 부분에서 지도에 관한 표기가 일본해로 써져있는데 문제가 될 만한 소지가 있지 않은가?”라고 묻자 감독은 “13살 때 처음으로 (일본해 표기 논란) 이슈를 알게 됐고 그 부분은 그렇게 크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물론 그는 이 부분이 논란이 되자 급기야 사과를 했지만 다른 영화도 아니고 6.25전쟁에서 학도병을 소재로 만든 영화는 그들의 희생을 생각하자고 만든 영화임에도 그 영화를 만든 감독이 버젓이 그런 이야기를 입에 올렸다는 부분이 참 안타깝다. 한국인과 한국영화를 빌미로 할리우드 감독이 되기 위해 용쓰고 있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물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아리랑에 나오는 친일파와 무엇이 다른가 싶은 생각도 든다. 아리랑 1권을 손에 들고 끝날때 까지 숨이 차도록 읽어 내려갔다. 12권을 다 읽는 동안 어느 한 권 소중하지 않은 부분이 없고 어느 한 부분 소홀히 넘어갈 데가 없었다. 아리랑은 식민지시대를 깊은 역사인식으로 탐구한 대하소설로 김제출신의 인물들이 군산, 하와이, 동경, 만주, 블라디보스톡 등지로 옮겨서 40여 년의 세월을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일제시대의 생활상뿐만 아니라 일제의 폭압에 맞선 우리 민족의 저항과 투쟁과 승리의 역사를 부각 시키고 있어 민족적 긍지와 자긍심, 자존심을 회복케 하는 역작이다. 총 4부 전 12권의 방대한 분량의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역사이기에 너무 비참했고 소설이기에 너무 재미있었다. 40이라는 이 나이에 일제에 대해 다시금 비분강개 해 보기는 처음이었다.
이만한 분량의 책을 민족의식을 담고 왜 요즘은 이런 작가가 나오지 않는지 참으로 안타깝다. 올해로 6.25전쟁 발발 60주년이고 한일합방 100주년이 되어 같다. 100여년의 세월은 짧은 시간이 아니다. 이제 일제시대를 몸으로 몸소 겪어내신 분들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정말 말로만 듣는 먼 날의 이야기가 되어 버린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래서 이런 의식있는 분들의 책이 많이 많이 나오길 소망해 본다. 그것이야말고 우리가 절대 잊어서도 안되는 살아있는 우리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는 이 부분이 논란이 되자 급기야 사과를 했지만 다른 영화도 아니고 6.25전쟁에서 학도병을 소재로 만든 영화는 그들의 희생을 생각하자고 만든 영화임에도 그 영화를 만든 감독이 버젓이 그런 이야기를 입에 올렸다는 부분이 참 안타깝다. 한국인과 한국영화를 빌미로 할리우드 감독이 되기 위해 용쓰고 있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물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아리랑에 나오는 친일파와 무엇이 다른가 싶은 생각도 든다. 아리랑 1권을 손에 들고 끝날때 까지 숨이 차도록 읽어 내려갔다. 12권을 다 읽는 동안 어느 한 권 소중하지 않은 부분이 없고 어느 한 부분 소홀히 넘어갈 데가 없었다. 아리랑은 식민지시대를 깊은 역사인식으로 탐구한 대하소설로 김제출신의 인물들이 군산, 하와이, 동경, 만주, 블라디보스톡 등지로 옮겨서 40여 년의 세월을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일제시대의 생활상뿐만 아니라 일제의 폭압에 맞선 우리 민족의 저항과 투쟁과 승리의 역사를 부각 시키고 있어 민족적 긍지와 자긍심, 자존심을 회복케 하는 역작이다. 총 4부 전 12권의 방대한 분량의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역사이기에 너무 비참했고 소설이기에 너무 재미있었다. 40이라는 이 나이에 일제에 대해 다시금 비분강개 해 보기는 처음이었다.
이만한 분량의 책을 민족의식을 담고 왜 요즘은 이런 작가가 나오지 않는지 참으로 안타깝다. 올해로 6.25전쟁 발발 60주년이고 한일합방 100주년이 되어 같다. 100여년의 세월은 짧은 시간이 아니다. 이제 일제시대를 몸으로 몸소 겪어내신 분들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정말 말로만 듣는 먼 날의 이야기가 되어 버린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래서 이런 의식있는 분들의 책이 많이 많이 나오길 소망해 본다. 그것이야말고 우리가 절대 잊어서도 안되는 살아있는 우리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조국은 영원히 민족의 것이지 무슨무슨 주의자들의 소유가 아니다. 그러므로 지난날 식민지 역사 속에서 민족의 독립을 위해 피흘린 모든 사람들의 공은 공정하게 평가되고 공평하게 대접되어 민족통일이 성취해낸 통일조국 앞에 겸손하게 비쳐지는 것으로 족하다. 나는 이런 결론을 앞에 두고 소설 '아리랑'을 쓰기 시작했다. 그건 감히 민족통일의 역사 위에서 식민지시대의 민족 수난과 투쟁을 직시하고자 하는 의도였다. 역사는 과거와의 대화만이 아니다. 미래의 설계가 또한 역사다. 우리는 자칫 식민지시대를 전설적으로 멀리 느끼거나 피상적으로 방치하는 잘못을 저지르기 쉽다. 그러나 민족 분단의 비극이 바로 식민지시대의 결과라는 사실을 명백히 깨닫는다면 그 시대의 역사를 왜 바르게 알아야 하는지도 알게 될 것이다." - 작가의 말 - |